[문서번호]
재산01254-2108 (1989.06.12)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다한회계법인 저작권)
[세목]상증
[제 목]
상속재산인 사업체의 평가에 있어 재고 감모량이 확인되는 경우 동 감모량을 상속재산에서 제외시키는지 여부
[요 지]
개인사업자인 피상속인이 사망함에 따라 상속재산인 당해 사업체를 평가함에 있어서 실지재고조사를 통하여 재고 감모량이 확인된 경우 당해 재고 감모량은 실질적으로 재산이 없는 경우로서 상속재산에 포함하지 아니하는 것임
[회 신]
개인사업자인 피상속인이 사망함에 따라 상속재산인 당해 사업체를 평가함에 있어서 실지재고조사를 통하여 재고 감모량이 확인된 경우, 당해 재고 감모량은 실질적으로 재산이 없는 경우로서 상속재산에 포함하지 아니하는 것임.
내용 오류는 알려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카톡상담)/(세무상담)
1. 질의내용 요약
상속세 과세가액을 결정함에 있어 종합소득세 과세표준을 결정할 때 재고 감모량을 매출누락으로 추정하여 과세한 그 매출누락 추정액을 다시 상속세 과세가액에 산입한 데 대하여, 다음과 같이 질의함.
목재의 제조ㆍ판매업을 영위하던 개인사업자가 사망함으로써 그 사업용 재산은 상속재산으로서 신고 되었음. 또한 상속세 신고에 앞서 상속이 개시될 때까지 피상속인의 사업기간(1987.01.01~1987.10.27)에 대한 소득세 신고를 함에 있어 재고자산에 대한 실지조사를 한 결과 장부상 재고액보다 실지재고액의 부족현상(이는 사업개시 후 17년간의 감모 누계액임)이 나타나자 이를 출자금과 상계처리((차) 출자금 ××× (대) 재고자산 ×××) 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하였던 바, 처분청이 당해 과세기간의 소득세를 결정하면서 그 재고부족액을 매출누락으로 추정하여 사업소득금액을 결정하였음.
그 후 처분청이 상속세 과세가액을 결정함에 있어 위 소득세 결정과정에서 매출누락으로 추정한 금액을 다시 상속세 과세가액에 산입하여 상속세를 과세하기에 이르렀음.
[질의내용]
(1) 과세가액에 산입하는 견해
상속세 과세가액 결정보다 앞서 소득세 과세표준을 결정함에 있어 재고 감모 수량이 매출누락으로 추정 되었다면 상속세 과세가액에도 산입되어야 한다는 견해임.
(2) 과세가액에 산입할 수 없다는 견해
상속개시일 현재, 현실적으로 상속재산이 존재하는 것에 한하여 상속세 과세 가액이 될 수 있기 때문임. 따라서 상속 개시 전에 아무리 많은 매출액과 소득이 있었다손 치더라도 상속개시일 현재 상속재산으로서 현존하지 않으면 과세가액이 될 수 없으며 반대로 매출이나 소득이 없었던 사람이라 할지라도 상속 재산이 현존하면 과세가액에 산입해야 할 것이기 때문임.
이 질의의 건은 재고자산 감모량을 처분청이 소득세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매출누락으로 추정하여 과세하였을 뿐이고 실제로 처분한 사실이 있었음을 전제로 한 것이 아니므로 상속세 과세대상이 될 수 없다고 보는 것임.
동 매출 추정액을 상속세법 제7조의 2의 규정에 해당 되는지를 가린다고 하더라도 동 규정은 매각 등 실제 처분한 사실이 있음을 전제로 하고 그 처분 대금의 사용처를 물은 후에 그 사용처가 분명하지 아니한 금액만을 현금 등의 재산으로 바꾸어 상속이 있는 것으로 의제하여 과세하는 규정이라고 할 것이고 이는 부동산 등의 자산을 현금 등의 자산으로 바꾸어 조세를 회피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뜻이 있다고 할 것이므로 이 건과 같이 실제 매출한 사실이 없을 뿐만 아니라 자금 사용사실 등의 확인 조사도 없이 사업 소득금액으로 추정한 것을 다시 상속재산으로 추정하여 과세하는 것은 국세기본법 제14조의 실질과세원칙 및 동 법 제16조의 근거과세원칙에 위반되기 때문이며 이러한 취지는 국세기본통칙 10...1(상속재산의 범위)은 인정상여금액에 대하여 실질적인 재산이 없기 때문에 과세가액에 산입하지 아니하는 경우 및 통칙 22-1...7의 2에서 실제로 처분한 것을 전제로 하는 해석 또는 소득 1264-2922. 1980.10.7의 예규에서 “매도 처분하여 현금, 예금, 기타자산으로 존재하는 경우”라고 한 것은 모두 이러한 견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봄.
2. 관련 조세 법령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기본통칙)
상속세법 기본통칙 10...1 [상속재산의 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