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한회계법인

☎ 0 2 - 8 3 4 - 1 1 1 9

다한회계법인
728x90
반응형

초보경리탈출 31

초보경리의 기준환율? 재정환율? 다른점은?

초보경리의 기준환율? 재정환율? 기준환율(원/달러 환율)과 해외에서 거래되는 외화(위안화, 엔화 등)와 달러와의 환율을 근거로 계산된 원화와 외화(달러 이외)의 환율입니다. ☞ 국제금융의 기축통화인 달러와의 환율을 "기준환율" 이라하고, 달러 이외의 환율을 "재정환율" 이라고 합니다. 위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 공감(♥) 클릭, 고맙습니다. 내용상 오류는 댓글 주시면 수정 하겠습니다. 세법은 자주 개정 되므로 현행세법 확인 후 적용 하시기 바랍니다. 세무대행(세무상담클릭) / 자료가 많은 세무회계카페

초보경리 자료 2022.07.25

초보경리의 외화평가차손이란? (foreign currency losses on valuation)

한글명 외화평가차손 한자명 外貨評價差損 영어명 foreign currency losses on valuation 해설 내용 외국화폐로 상환할 조건으로 차입한 외국채무에 대하여 환율이 변동되면, 기업체는 그 외국채무를 적정하게 표시하기 위하여 내국화폐로 표시된 장부가액을 수정하게 되는데, 그 수정에 의하여 외화평가차손익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외화평가손익은 외화채무가 있는 기업에만 생기는 것이 아니고, 외화채권이 있는 기업의 경우에도 생기게 된다. 예컨대, 환율이 인상된 때에는 내국화폐로 표시된 외화채권과 외화채무의 장부가액은 종전의 금액보다 증가하므로, 상대적으로 발생하는 외화평가차액은 외화채권인 경우에는 대변에, 외화채무의 경우에는 차변에 생기게 된다. 이와 반대로, 환율이 인하될 경우에는 내국화폐로 ..

초보경리 자료 2022.07.15

초보경리의 법정자본금이란? (발행자본금과 수권자본금 차이?)

초보경리 법정자본금(法定資本金) 주식회사를 만들기 위해서는 법에서 정하는 일정 금액 이상을 의무적으로 출자해야 한다. 이를 자본금이라 한다. 자본금에는 발행자본금과 수권자본금이 있다. 수권자본이란 해당회사가 발행할 수 있는 주식의 총액을 말하는데 이를 법정자본금이라고도 한다. 반면 발행자본은 수권자본 테두리에서 실제로 주식을 발행, 자금이 투자된 자본금이다. 현행 상법에서는 이 발행자본의 최저액을 5,000만원으로 규정하고 있다. 발행자본을 늘리려면 이사회의 결의를 거쳐야 하고 수권자본을 늘리려면 주주총회를 거쳐야 한다. 법정자본금은 그 회사의 규모를 가늠해 주는 것으로서 모든 채권의 기초적인 담보물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위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 공감(♥) 클릭, 고맙습니다. 내용상 오류는 댓글 ..

초보경리 자료 2022.07.08

초보경리의 잔여재산가액확정일이란?

한글명 잔여재산가액확정일 한자명 殘餘財産價額確定日 영어명 inconvertible date of residual property value 잔여재산은 주주 등 잔여재산의 귀속자에 대하여 최후의 분재가 가능한 때 확정되는데, 이를 잔여재산가액확정일이라 한다. 따라서, 잔여재산의 확정일은 청산업무 중 현재사무의 종결, 채권의 추심과 채무의 변제 및 재산의 환가처분이 이루어진 이후가 되며, 잔여재산을 주주 등에게 금전으로 분배하지 아니하고 현물로 분배하는 경우에는 현물분배분에 대하여는 환가하지 아니하여도 되기 때문에 환가처분 이번에도 될 수 있다. (법인세법 제85조) 위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 공감(♥) 클릭, 고맙습니다. 내용상 오류는 댓글 주시면 수정 하겠습니다. 세법은 자주 개정 되므로 현행세법 확인..

초보경리 자료 2022.06.28

초보경리의 계정과목중 보험차익이란? (保險差益)

보험차익 한자명 保險差益 영어명 gain on insurance settlement 보험에 가입한 고정자산에 보험사고가 발생하여 손실이 생긴 때에 가입한 보험회사로부터 지급받는 보험금액이 피해를 받은 고정 자산의 장부가액을 초과하는 경우에 그 초과하는 금액을 보험차익이라 한다. 다한회계법인 자료 일반적으로 손해보험은 자산의 시가를 기준으로 보험금액을 결정하게 되므로 보험차익은 고정자산의 가격변동이나 과거의 감가상각비의 과부족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 된다. 현행 세법의 규정에 의하면 법인세법상 보험차익은 원칙적으로 익금(益金)에 산입하고 있으나, 다만 내국법인에 대하여는 보험사고로 인하여 멸실하거나 손상된 고정자산과 동일한 종류의 고정자산을 취득하는데 충당하고 스스로 세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손금산입..

초보경리 자료 2022.04.01

초보경리의 잡비와 잡손실의 차이 (잡비? 잡손실?)

잡비와 잡손실의 차이 잡비는 판매관리비에 해당하는 계정과목이고 잡손실은 영업외비용에 해당하는 계정과목이다. 그러므로 비용이 계정을 구분하기 곤란하거나 금액적으로 이름을 구분하여 분류할 필요성이 없기는 하지만 영업과정에서 발생한 것이라면 잡비로 계상하고, 일반적인 영업과정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고 도난, 고객 등의 행패로 인한 손실 등은 잡손실로 처리한다.다한회계법인 자료 개인적인의견 - 잡비보다는 소모품등으로 해서 처리하고 잡비는 안쓰길 권유. 위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 공감(♥) 클릭, 고맙습니다. 내용상 오류는 댓글 주시면 수정 하겠습니다. 세법은 자주 개정 되므로 현행세법 확인 후 적용 하시기 바랍니다. ①인터넷기장이란? / ②메신저 업무 문의 / 세무 상담 문의 / ③세무,회계 정보 카페

초보경리 자료 2022.02.23

초보경리의 고용을 증대시킨 기업에 대한 세액공제란? (초보경리의 조세특례제한법)

고용을 증대시킨 기업에 대한 세액공제(조세특례제한법 §29의7) 감면대상 법인 : 내국인(소비성서비스업 제외) 감면 내용 전년 대비 상시근로자 수가 증가한 경우 증가한 고용인원 1인당 아래 금액을 공제 * 종전 고용창출투자세액공제와 청년고용증대세제를 통합하여 고용증대세제로 전환되었으며, 투자가 없더라도 고용증가인원 당 일정금액을 공제 고용인원이 감소되지 아니한 경우 대기업 2년, 중소 · 중견기업 3년 적용 <고용증대 세액공제금액> * 청년정규직 근로자란 15세이상 29세 이하로써 기간제·단시간 근로자, 파견근로자, 청소년유해업소 근무 청소년 등을 제외한 근로자 * 장애인근로자란 「장애인복지법」의 적용을 받은 장애인과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상이자 1. 근로계약기간이 1년 미..

초보경리 자료 2021.12.01

초보경리의 수정신고란? (국세기본법§45) - 초보경리의 수정신고 개념잡기.

초보경리의 수정신고란? (국세기본법§45) - 초보경리의 수정신고 개념잡기. 법정신고 기한 내에 제출한 신고서 및 §45의3①에 따른 기한후과세표준신고서* 상에 기재된 과세표준 및 세액(환급 세액포함) 또는 결손금액이 사실과 달라 증액 수정신고를 하여야 할 경우 세무서장이 과세표준과 세액을 경정하여 통지하기 전으로서 국세 부과의 제척 기간이 끝나기 전까지 수정신고서를 제출할 수 있으며, 추가로 납부하여야 할 세액은 납부하여야 합니다. * 2020.1.1. 이후부터 적용하되 2020.1.1.전에 기한후과세표준신고서를 제출하고 2020.1.1. 이후 과세표준 수정신고서를 제출하는 경우에도 적용(국세기본법 개정, 2019.12.31-16841호) ※ 수정신고 사유(국세기본법§45①) ① 과세표준신고서에 기재된..

초보경리 자료 2021.09.24

초보경리의 주주명부 폐쇄란?

초보경리의 주주명부 폐쇄란? 주주명부 폐쇄: 상속, 양도 등으로 주주가 바뀌었을 때, 새로운 주주의 성명과 주소 등을 주주명부에 기재하지 못하게 하는 것. 주주명부 폐쇄는 말 그대로 주주명부를 특정 기간동안 수정 불가능하게 닫아버리는 걸 의미합니다. 주주명부는 상속, 양도 등으로 새로운 주주가 추가되는 경우에 변경되는데 주주명부 폐쇄기간에는 주식을 양도받아서 주주가 되었다고 해도 주주명부에 이름을 올릴 수 없게 됩니다. 폐쇄기간은 3개월을 넘지 못하며, 정관에 폐쇄기간을 명확히 기재하지 않았다면 폐쇄 2주 전부터 공고를 해야 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아래 공감♥ 버튼 눌러주세요. 내용상 오류는 댓글 주시면 수정 하겠습니다. 세법은 자주 개정 되므로 현행세법 확인 후 적용 바랍니다. 업무대행 문의,..

초보경리 자료 2021.06.16

초보경리의 이전가격과세 (移轉價格課稅; transfer pricing taxation) 란?

이전가격과세 (移轉價格課稅; transfer pricing taxation) 이전가격과세제도는? 국외특수관계자와의 국제거래시 독립기업간에 거래되는 가격(정상가격)보다 높은 대가를 지불하거나 낮은 대가를 받아 과세소득을 국외에 이전시키는 경우 그 조작된 가격(이전가격)을 부인하고 정상가격으로 과세함으로써 자국의 과세권을 보호하고 국제적인 조세회피를 방지하는 규정이다. 이를 국제조세조정에관한법률은 ‘정상가격에 의한 과세조정’이라 칭한다. 한편, 납세자가 실질적 지배관계에 의한 특수관계에 해당되지 아니하다는 명백한 사유의 제시가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하는데, 이것은 실질적 지배관계에 의한 특수관계요건은 간주규정이 아닌 추정규정이기 때문이다. ♡공감과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고맙습니다. 내..

초보경리 자료 2021.06.0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