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서는 저소득 근로자에게 근로소득금액에 따라 최대 210만원까지 근로장려금을 지급하는 「근로장려세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저소득 근로자에게 근로장려금 소득지원을 하기 위해서는 급여를 지급하는 사업자의 지급명세서 제출 협조가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일용근로자를 고용하고 급여를 지급하는 사업자는 매분기에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를 의무 제출하여야 하며, 미제출 시에는 미제출 급여액의 2%에 상당하는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제 출 대 상 |
○ 1일 또는 시간으로 급여를 계산하여 받는 근로자(일당, 파트타임, 아르바이트 등)로서 동일 고용주에게 3월(건설공사 종사자는 1년) 이상 계속 고용되어 있지 않는 근로자의 급여내역
제 출 내 역 |
○ 일용근로자의 성명,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지급월, 근무월, 근무일수, 총지급액, 비과세소득, 소득세, 지방소득세 및 지급내역에 대한 집계
※ 특히 개정서식에 추가된 사항 중 일용근로자의 전화번호는 근로장려금 신청 안내시 필요한 자료이므로 반드시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제 출 기 한 |
○ ’14년 1/4분기(10~12월) 지급분은 ’14.04.30일까지 제출하여야 합니다.
◈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 제출시기
※ 근로를 제공하였으나 급여를 12월 31일까지 지급하지 않은 경우에도 2월 말일까지 반드시 제출하여야 합니다. |
제 출 방 법 |
※ 일용근로자 원천징수세액 계산(사례) : ’14년 지급분
◈ 원천징수 세액 계산 방법 - 산 출 세 액 = [일용근로소득(일당) - 100,000] × 6% - 납부할 세액 = 산출세액 - 세액공제액(=산출세액의 55%) ※ 간편식 : [일용근로소득(일당)-100,000] × 2.7% = 납부할세액 ◈ 일당 137,000원 경우, 납부할 세액 없음 ☞ [137,000-100,000] × 6% - {[137,000-100,000] × 6%} × 55% = 999원(소액부징수) ◈ 일당 140,000원 경우, 납부할 세액 1,080원 ☞ [140,000-100,000] × 6% - {[140,000-100,000] × 6%} × 55% = 1,080원 |
작성시점의 세법내용입니다.
세상에없던 세무대리, 인터넷기장이란?
무료상담 전화는 126번.
'원천세(연말정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월 실적에 따른 우수부서 및 직원포상금 지급관련 세무처리방법 및 절차문의 [Q&A] (0) | 2014.04.08 |
---|---|
매월 실적에 따른 우수부서 및 직원포상금 지급관련 세무처리방법 및 절차문의 [Q&A] (0) | 2014.04.08 |
IRP 과세이연된 퇴직금이 있는 배우자의 배우자공제 가능여부 (0) | 2014.03.28 |
비상장법인이 개인에게 지급시 지급조서상 과세코드는? (0) | 2014.03.27 |
일용근로자도 반드시 건강보험에 가입시켜 건강보험료를 원천징수하여 납부해야 할까요? (0) | 2014.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