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증대세액공제, 통합고용세액공제 이월된 세액이 있는 경우 감소에 따른 추가 납부 방법

# 조세특례제한법 제29조의7 [고용을 증대시킨 기업에 대한 세액공제]
② 제1항에 따라 소득세 또는 법인세를 공제받은 내국인이 최초로 공제를 받은 과세연도의 종료일부터 2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의 종료일까지의 기간 중 전체 상시근로자의 수가 최초로 공제를 받은 과세연도에 비하여 감소한 경우에는 감소한 과세연도부터 제1항을 적용하지 아니하고, 청년등상시근로자의 수가 최초로 공제를 받은 과세연도에 비하여 감소한 경우에는 감소한 과세연도부터 제1항제1호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이 경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공제받은 세액에 상당하는 금액을 소득세 또는 법인세로 납부하여야 한다.
* (유권해석)사전-2020-법령해석소득-0478 (2020.10.21.)
고용을 증대시킨 기업에 대한 세액공제액 중 소득세 최저한세액에 미달하여 공제받지 못한 부분에 상당하는 금액을 이월한 후 상시근로자 수가 최초로 공제를 받은 과세연도에 비하여 감소한 경우 조특령 제26조의7제5항제1호에 따라 계산한 금액을 공제받은 세액을 한도로 소득세로 납부하고 나머지 금액은 이월된 세액공제액에서 차감하는 것임
# 조세특례제한법 제29조의8 [통합고용세액공제]
② 제1항에 따라 소득세 또는 법인세를 공제받은 내국인이 최초로 공제를 받은 과세연도의 종료일부터 2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의 종료일까지의 기간 중 전체 상시근로자의 수가 최초로 공제를 받은 과세연도에 비하여 감소한 경우에는 감소한 과세연도부터 제1항을 적용하지 아니하고, 청년등상시근로자의 수가 최초로 공제를 받은 과세연도에 비하여 감소한 경우에는 감소한 과세연도부터 제1항제1호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이 경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공제받은 세액에 상당하는 금액(제1항에 따른 공제금액 중 제144조에 따라 공제받지 못하고 이월된 금액이 있는 경우에는 그 금액을 차감한 후의 금액을 말한다)을 소득세 또는 법인세로 납부하여야 한다.
(사례) 공제받지 못하고 이월된 금액이 있는 경우 실제 납부할 세액 계산


'세무,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세)자동차세 연납 정리자료 (2) | 2025.06.26 |
---|---|
재무제표를 재작성하여 수정신고나 경정청구를 할 수 있는지?(재무제표 수정 후 재신고?) (0) | 2025.06.24 |
결산 확정된 재무제표의 정정, 수정 가능여부? (0) | 2025.06.20 |
창업중소기업에 대한 세액감면 적용대상 창업에 해당하는지(프리랜서의 창업) (4) | 2025.06.19 |
지방세 가산세 감면(지방세 기본법 제57조(가산세의 감면 등) (3) | 2025.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