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6조의7 (고용을 증대시킨 기업에 대한 세액공제)
② 법 제29조의7제1항 각 호 외의 부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상시근로자"란 제23조제10항에 따른 상시근로자(이하 이 조에서 "상시근로자"라 한다)를 말한다.
# 제26조의8 (통합고용세액공제)
② 법 제29조의8제1항 각 호 외의 부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상시근로자"란 제23조제10항에 따른 상시근로자(이하 이 조에서 "상시근로자"라 한다)를 말한다.
# 조세특례제한법/ 제23조 (고용창출투자세액공제)
⑩ 제7항부터 제9항까지의 규정을 적용할 때 상시근로자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근로계약을 체결한 내국인 근로자로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은 제외한다. <신설 2012.2.2, 2012.8.31, 2015.2.3, 2018.2.13, 2019.2.12, 2020.2.11, 2020.6.2>
다한회계법인+지식In 법인세 1등=실무에 강한 세무대행,세무상담 클릭
1. 근로계약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근로계약의 연속된 갱신으로 인하여 그 근로계약의 총 기간이 1년 이상인 근로자는 제외한다)
2. 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9호에 따른 단시간근로자.
다만, 1개월간의 소정근로시간이 60시간 이상인 근로자는 상시근로자로 본다.
3. 법인세법 시행령 제40조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임원
4. 해당 기업의 최대주주 또는 최대출자자(개인사업자의 경우에는 대표자를 말한다)와 그 배우자
5. 제4호에 해당하는 자의 직계존비속(그 배우자를 포함한다) 및 국세기본법 시행령 제1조의2제1항에 따른 친족관계인 사람

6. 소득세법 시행령 제196조에 따른 근로소득원천징수부에 의하여 근로소득세를 원천징수한 사실이 확인되지 아니하고,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금액의 납부사실도 확인되지 아니하는 자
가. 국민연금법 제3조제1항제11호 및 제12호에 따른 부담금 및 기여금
나. 국민건강보험법 제69조에 따른 직장가입자의 보험료
現 법률 검토 후 적용要 / 법적판단,권리주장 효력 없음.(무단전재 금지)
내용상 오류는 댓글 부탁드립니다. #세무회계정보카페
소중한 공감(♡) 클릭, 감사합니다.
특수관계자로부터 승계한 근로자의 고용창출형 창업기업 상시근로자수 산정(특수관계 전출입 고용증대/ 통합고용)
'세무,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유형자산을 공정가액으로 평가한 경우 감가상각방법 (0) | 2025.03.20 |
---|---|
조특법 세액공제 중 최저한세가 적용되는 세액공제. (1) | 2025.03.19 |
통합고용세액공제와 고용을증대시킨기업에대한 세액공제/ 중소기업사회보험료세액공제 중복적용? (0) | 2025.03.14 |
사내근로복지기금에 지출하는 기부금?의 손금산입 여부/ 21년이후 개정내용/ 계정과목? (0) | 2025.03.13 |
특수관계자로부터 승계한 근로자의 고용창출형 창업기업 상시근로자수 산정(특수관계 전출입 고용증대/ 통합고용) (1) | 2025.03.10 |